IT&Computer

파이썬 변수와 함수 제대로 알기

Seeker시커 2023. 10. 18. 21:40
반응형

변수와 함수는 기본 개념인만큼 쉽다고 생각하지만 의외로 프로그래밍 초보, 초심자들이 헷갈리는 부분이 있다. 개념적으로 잘 정리해야 후에 헷갈리지 않기 때문에 다시 한 번 정리해보자.

파이썬 변수와 함수 제대로 알기 

 

1. 변수 제대로 이해하기

name = "이름"

number = 99

와 같이 변수는 간단하다. 하지만 아래와 같이 변수를 정의하면 우리가 기존에 알고 있던 수학적 기호의 의미와는 달라진다.

x = 55까지는 위와 같다.

하지만 [x = x + 55]는 수학적으로는 55 = 0 이 되어 틀린 수식이 된다.

프로그램에서는 수학적 기호의 의미와 달리 ' = ' 오른쪽의 값을 왼쪽에 저장한다는 뜻이 된다.

즉 위 수식은 x = 55 + 45가 되어 두번째 print에서는 100이 출력된다.

 

즉, 파이썬의 연산에서 등호는 좌항과 우항이 같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오른쪽 값을 왼쪽 변수에 저장한다는 뜻이다.

 

2.함수의 실행순서

함수를 정의하는 단계에서는 함수가 실행되지 않고, 정의된 함수는 호출이 되어야 실행된다.

def 문 속의 print문은 실행되지 않지만 test()를 통해서 호출된 함수에서는 print문 2개가 실행되었다.

첫번째 함수 호출에서는 함수에 print문이 없어서 출력되지 않았고, 두번째 함수 호출에서는 외부의 print 함수에 의해서 결과값이 출력되었다.

 

첫번째 함수와 두번째 함수는 각각 호출되어 계산된 후 print함수에 의하여 출력되었다.

 

 

함수 선언에서 return과 print의 차이가 있는데, 이는 다음 포스트를 통해 알아보겠다.

 

 

《이 포스트는 코드잇 강의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으며, 개발과 프로그래밍에 대해서 거의 알지 못하는 제가 거의 알지 못하는 초보자를 위해 쓴 글임을 밝힙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