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파이썬 10

파이썬 input 함수, 사용자에게 입력 받기

지금까지는 코드를 작성하고 있는 우리가 직접 입력도 하고 출력도 했다. 하지만 실제 프로그램에서는 유저에게 입력값을 받아와야 하는 경우가 많다. 파이썬 input 함수는 가장 간단하게 사용자에게 입력을 받을 수 있는 함수이다. 파이썬 input 함수, 사용자에게 입력받기 1. input 함수 지금까지는 개발자가 동작을 결정했다면, 콘솔을 통해 사용자에게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을 받기 위해서는 input이 필요 print('사용자에게 값을 입력 받아보자\n') input('숫자를 입력해주세요 : ') input('내용')을 입력한다. 내용은 사용자가 입력하기 전에 출력되는 내용으로 사용자에게 어떤 내용을 입력하면 되는지 알려줄 수 있다. 사용자에게 입력을 받은 후 프로그램이 종료된 것을 알 수..

IT&Computer 2023.11.16

파이썬 자료형 사전 Dictionary 개념과 활용

파이썬의 많은 자료형 중 하나인 사전형에 대해서 알아보자. 파이썬 자료형 사전 Dictionary 개념과 활용 1. 사전의 개념 여러개의 값을 모아놓을 수 있는 자료형으로는 리스트와 사전이 있다. 리스트는 첫번째 요소부터 인덱스 값이 0으로 지정되지만 사전은 Key와 Value가 하나의 쌍을 이루어서 저장된다. 사전을 선언할때는 대괄호 {}를 사용하고, Key : Value 로 선언하며, 콤마로 각 값을 분리한다. my_dictionary = { 5: 25, 2: 4, 3: 9 } print(type(my_dictionary)) print(my_dictionary) 위의 값을 보면 5, 2, 3 이 Key이고 25, 4, 9 가 Value이다. 키를 통해서 값을 호출할 수 있다. my_dictionary..

IT&Computer 2023.11.15

파이썬 변수의 범위 Scope와 상수

변수를 어디에 정의하냐에 따라 변수를 사용할 수 있는 범위가 달라진다. 변수의 scope 즉 적용 범위를 이해해야 어디에서 변수를 정의하고, 어디서 사용할 수 있을지 정확히 알고 실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래밍에서 정의한 상수에 대해서도 알아보자. 파이썬 변수의 범위 Scope와 상수 1. 변수의 scope(범위) 1.1 Local 로컬 변수 아래와 같이 함수 내에서 정의한 변수는 함수 안에서만 작동한다. test 함수 내에서 정의한 x가 test() 함수를 불러왔을 때 잘 사용되었다. 하지만 함수 안에서 정의한 변수는 함수 밖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함수 내에서 정의한 변수를 로컬 변수라 부르고, 함수 내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7번 라인의 print(x)는 함수 바깥이므로 로컬 변수가 적용되지..

IT&Computer 2023.10.24

파이썬 불 대수와 논리연산

파이썬을 포함한 프로그래밍에서 논리는 아주 중요한 요소이다. 논리를 표현하는 불대수와 논리연산에 대해서 알아보자. 파이썬 불 대수와 논리연산 1. 불대수 불대수란 일상적인 논리를 수학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일반 수학에서는 숫자를 사용하겠지만, 불 대수는 진리값 True, False를 사용한다. 이 때 논리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참, 거짓이 명확한 문장이어야 한다. 예시) 5는 7보다 작다 : 참 True 4는 9보다 크다 : 거짓 False 대한민국의 수도는 어디인가? : 명제가 아님 하늘이 예쁘다 : 명제가 아님 2. 논리 연산 2.1 and 연산 x와 y가 모두 참일때만 결과가 참이고, 하나라도 거짓이면 거짓으로 출력한다. 2.2 or 연산 x와 y중 하나만 참이면 결과가 참이고, 둘다 거짓이면 거짓으..

IT&Computer 2023.10.16

파이썬 포매팅 format을 활용해서 문장 만들기

변수와 print 함수를 사용해서 문장을 만들때, 문장 사이에 각 변수를 다 입력해주는 것은 좀 번거로운 일이다. 이때 format을 활용해서 조금 더 쉽게 문장을 만들 수 있다. 1. Format을 활용한 문자열 포매팅 아래와 같이 숫자형 변수를 선언한 후 문장 내에서 각 변수를 다시 문자열로 변환해서 문장을 만들면 코드가 길어지고 작성하기가 번거롭다. 이럴 때 format을 활용한다. 띄어쓰기 맞추기도 힘들고 따옴표, 문자열 형변환 등 신경쓸게 많다. 원하는 문장을 입력한 후 자리에 맞게 변수만 입력해주면 되서 작성하기가 간편하다. 아래와 같이도 작성이 가능하다 2. Format을 활용한 문자열 포매팅 심화 출력의 순서를 바꾸고 싶으면 파라미터의 순서를 바꿔도 되고, 대괄호 안에 순서를 지정해도 된다..

IT&Computer 2023.10.10

객체 지향 프로그램이란 무엇일까?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의 이해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 중에 나의 목적에 적합한 언어는 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 필요한 언어를 찾기 위해서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분류에 대해 알면 좋다. 프로그래밍 언어를 분류하는 방법 중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 대해서 알아보자. 객체 지향이라는 개념은 사실 쉬운 개념이 아니라고 한다. 그 전체를 다 배우고 알기는 어려우니 프로그래밍 초보자가 언어를 선택하는데 도움이 될 만한 정도의 지식만 얻어보자. 객체 지향이란 프로그래밍에 대한 접근법 중 하나이다. 기존에는 큰 프로그램을 여러 개발자가 협업해서 만들 때 각 구역에 필요한 기능을 나눠서 코딩을 했다. 프로그램의 큰 틀을 만들고, 필요한 기능을 분석한 후 각 개발자가 나눠서 자신의 파트를 완성한다. 그 후 각자 작성한 코드를 통합해서 하나의 프로그램이 만..

IT&Computer 2023.07.25

파이썬으로 프로그래밍 시작하기 - 함수의 파라미터와 리턴 Parameter, return의 개념

함수의 정의를 위해 파라미터(Parameter)와 리턴(Return)의 개념이 필요하다. 지난 포스트에서 Def을 통해 새로운 함수를 선언하는 것을 얘기했었는데, 이 때 필요한 개념이 파라미터와 리턴이다. 파라미터는 정의한 함수에 입력을 받는 값이다. 파라미터를 입력받아 함수 내부의 코드를 통해서 가공할 수 있다. 가공된 값을 다시 함수의 결과 값으로 내놓는 것이 리턴이다. 다음의 예를 살펴보자. def greeting(test_parameter): print('This is parameter test') print(test_parameter) print('Parameter test ends') greeting("This is a test!!") 아직은 print 말고 출력 방법이 없어서 간단한 테스트이..

IT&Computer 2023.07.23

파이썬으로 프로그래밍 시작하기 - 추상화, 변수, 함수의 개념

파이썬을 포함한 모든 프로그래밍에서 사용하는 것이 변수와 함수이다. 추상화와 변수와 함수에 대해서 알아보자.1. 추상화 Abstraction 우리는 스마트폰의 하드웨어가 어떻게 구성되고 작동되는지, 어떤 소프트웨이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잘 모른다. 4G, 5G 네트워크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도 대부분은 잘 모른다. 하지만 우리는 스마트폰으로 인터넷에 연결하여 여러가지 작업을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자동차가 어떻게 움직이는지 대부분은 잘 모르지만 운전은 할 수 있다. 이렇게 복잡한 내용들을 잘 몰라도 주요 기능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을 코딩에서 추상화라고 한다.2. 변수 Various 코딩에서 변수는 값을 어떤 공간에 담아놓고 공간에 이름표를 붙여주는 것이다. X = 255 Y = 365 라고 코딩한..

IT&Computer 2023.07.20

파이썬으로 프로그래밍 시작하기 - 자료형이란 무엇일까?

프로그래밍에 기초인 자료형에 대해서 알아보자. 어느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워도 가장 처음에 배우는 내용이면서,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에 비슷하게 적용되는 사항이다. 자료형에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프로그래밍 초보로서 알아야할 자료형은 간단한다. 1. 정수 Integer 2. 소수 Floating Point 3. 문자 String 4. 불린 Boolean 1. 정수 Integer 정수와 소수의 개념은 수학 시간에 우리가 배우지만 실생활에 구분할 필요가 없어서 잊었을 수도 있고, 컴퓨터 언어처럼 딱 나눠서 구분하지 않다보니 적응이 힘들수도 있다. 간단하게 정수는 0, 또는 0보다 크거나, 0보다 작은 숫자이다. -3, -2, -1, 0, 1, 2, 3 등등, 소수점을 가지지 않는 우리가 실생활에서 하나의 개체들을..

IT&Computer 2023.07.12

파이썬으로 프로그래밍 시작하기 - #코멘트란 무엇일까?

파이썬으로 프로그래밍일 배우기 앞서 파이썬을 포함한 거의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에 사용 될 코멘트에 대해서 알아보자. 파이썬으로 프로그래밍 시작하기 - #코멘트란 무엇일까? 우리말로는 주석이라고 하는 코멘트는 코딩을 하는 중 메모하거나, 코드를 설명하거나, 미완성된 부분을 표시하거나, 다른 개발자와 소통하기 위해서 코드의 중간에 써놓는 것이다. 줄의 앞에 "#"을 달아서 표기하고, #을 붙이면 이 라인은 컴퓨터가 해석하지 않는다. print("#코멘트란 무엇일까?") # 라인의 앞에 "#"을 붙여 놓으면 컴퓨터가 해석하지 않는다. print("코멘트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위와 같이 코드 중간에 삽입한 코멘트는 실행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코멘트는 언제 사용할까? 코드 사이에 ..

IT&Computer 2023.07.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