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함수의 정의를 위해 파라미터(Parameter)와 리턴(Return)의 개념이 필요하다.
지난 포스트에서 Def을 통해 새로운 함수를 선언하는 것을 얘기했었는데, 이 때 필요한 개념이 파라미터와 리턴이다.
파라미터는 정의한 함수에 입력을 받는 값이다. 파라미터를 입력받아 함수 내부의 코드를 통해서 가공할 수 있다. 가공된 값을 다시 함수의 결과 값으로 내놓는 것이 리턴이다.
다음의 예를 살펴보자.
def greeting(test_parameter):
print('This is parameter test')
print(test_parameter)
print('Parameter test ends')
greeting("This is a test!!")
print('This is parameter test')
print(test_parameter)
print('Parameter test ends')
greeting("This is a test!!")
아직은 print 말고 출력 방법이 없어서 간단한 테스트이지만 파라미터의 개념에 대해서 알 수 있다.
여러개의 파라미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리턴 ruturn은 함수의 결과 값을 돌려주는 것이다.
파라미터의 값에 10을 더해서 그 값을 돌려주는 함수를 선언했다. 22를 입력받아 33을 정상적으로 출력한 것을 알 수 있다.
아직은 쉬운 개념과 방법이지만 앞으로 배울 단계에서 몰라서는 안되며 유용하게 활용될 개념이다.
파이썬으로 프로그래밍 시작하기 - 함수의 파라미터와 리턴 Parameter, return의 개념
반응형
'IT&Compu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객체 지향 프로그램이란 무엇일까?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의 이해 (2) | 2023.07.25 |
---|---|
초보자가 프로그래밍을 배우기 힘든 이유! 프로그래밍도 알고 시작해야 한다! (2) | 2023.07.24 |
파이썬으로 프로그래밍 시작하기 - 추상화, 변수, 함수의 개념 (2) | 2023.07.20 |
파이썬으로 프로그래밍 시작하기 - 자료형이란 무엇일까? (2) | 2023.07.12 |
파이썬으로 프로그래밍 시작하기 - #코멘트란 무엇일까? (2) | 2023.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