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Computer

파이썬으로 프로그래밍 시작하기 - 자료형이란 무엇일까?

Seeker시커 2023. 7. 12. 21:47
반응형

프로그래밍에 기초인 자료형에 대해서 알아보자.

어느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워도 가장 처음에 배우는 내용이면서,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에 비슷하게 적용되는 사항이다.

 

Markus Spiske님의 사진: https://www.pexels.com/ko-kr/photo/2004161/

자료형에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프로그래밍 초보로서 알아야할 자료형은 간단한다.

 

1. 정수 Integer

2. 소수 Floating Point

3. 문자 String

4. 불린 Boolean

 

1. 정수 Integer

정수와 소수의 개념은 수학 시간에 우리가 배우지만 실생활에 구분할 필요가 없어서 잊었을 수도 있고, 컴퓨터 언어처럼 딱 나눠서 구분하지 않다보니 적응이 힘들수도 있다. 간단하게 정수는 0, 또는 0보다 크거나, 0보다 작은 숫자이다. -3, -2, -1, 0, 1, 2, 3 등등, 소수점을 가지지 않는 우리가 실생활에서 하나의 개체들을 셀수 있는 숫자이다.

 

2. 소수 Floating Point

정수와 달리 소수점 이하가 포함된 숫자이다. 0.1, -2.3, 5.3 등 우리에게 익숙한 숫자이지만 개체를 셀때 쓰는 숫자는 아니다. 예를 들어 우리는 강아지를 1.3마리라고 세지 않는다. 하지만 우리의 실생활에서 국민 1명당 반려견 보유가 1.3마리 라는데 어색함을 느끼지 않는다. 실생활에서는 정수를 거의 쓰지만 소수도 많이 접하기 때문에 어색함을 느끼지 않는다. 하지만 프로그래밍에서 정수와 소수는 엄연히 다른 개념이다.

 

3. 문자 String

말그대로 문자이다. 프로그래밍에서 표현할 때는 따옴표 안에 넣는 것을 뜻한다. "Hello world"에서 ""안에 있는 것은 문자이다. 이 때 정수와 소수가 따옴표 안에 들어가면 문자로 취급된다.

 

정수, 소수, 문자의 구분에 따라 아래와 같이 프로그래밍에서 변수를 입력한다면, 각 변수의 자료형은 다른 것으로 인식한다.

 

X = 2

Y = 2.0

Z = "2"

 

라고 변수를 지정한다면, X는 Y와 같지 않고 Y는 Z와 같지 않으며 Z는 X와 같지않다.

 

4, 불린 Boolean

참과 거짓을 나타내는 자료형이다. 코딩에서는 X가 참인지 아닌지, Y가 참인지 아닌지, 또는 X=Y가 참인지 아닌지 구별할 일이 많다. 불린은 참과 거짓을 나타내는 자료형으로 논리 함수의 결과값으로 산출되는 자료형이다.

 

 

자료형은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비슷하게 사용되기 때문에 기초개념을 익혀두면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를 익힐때도 유용하다.

 

 

파이썬으로 프로그래밍 시작하기 - 자료형이란 무엇일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