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코드잇 8

파이썬 모듈 Module, 스탠다드 라이브러리 Standard library 맛보기

파이썬을 비롯한 많은 프로그래밍 언어는 다양한 모듈을 제공한다. 다른 개발자가 만들어둔 모듈 외에도 프로그래밍 언어에 내장된 다양한 모듈도 있다. 모듈이 무엇인지, 기본 내장 모듈인 스탠다드 라이브러리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자. 파이썬 모듈 Module, 스탠다드 라이브러리 Standard library 맛보기모듈과 라이브러리에 대한 기본 개념은 아래 글에도 정리되어 있다. 2023.08.09 - [IT&Computer] - 프로그래밍의 유용한 도구,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 프로그래밍의 유용한 도구,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프로그래밍에는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몇몇 문제점이 존재하고, 이미 많은 프로그래머들이 문제점에 대한 좋은 해결책을 만들어뒀다. 문제뿐만 아니라 기능에 있어서도 많이 사용되는 기능은 ..

IT&Computer 2023.11.17

파이썬 input 함수, 사용자에게 입력 받기

지금까지는 코드를 작성하고 있는 우리가 직접 입력도 하고 출력도 했다. 하지만 실제 프로그램에서는 유저에게 입력값을 받아와야 하는 경우가 많다. 파이썬 input 함수는 가장 간단하게 사용자에게 입력을 받을 수 있는 함수이다. 파이썬 input 함수, 사용자에게 입력받기 1. input 함수 지금까지는 개발자가 동작을 결정했다면, 콘솔을 통해 사용자에게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을 받기 위해서는 input이 필요 print('사용자에게 값을 입력 받아보자\n') input('숫자를 입력해주세요 : ') input('내용')을 입력한다. 내용은 사용자가 입력하기 전에 출력되는 내용으로 사용자에게 어떤 내용을 입력하면 되는지 알려줄 수 있다. 사용자에게 입력을 받은 후 프로그램이 종료된 것을 알 수..

IT&Computer 2023.11.16

파이썬 자료형 사전 Dictionary 개념과 활용

파이썬의 많은 자료형 중 하나인 사전형에 대해서 알아보자. 파이썬 자료형 사전 Dictionary 개념과 활용 1. 사전의 개념 여러개의 값을 모아놓을 수 있는 자료형으로는 리스트와 사전이 있다. 리스트는 첫번째 요소부터 인덱스 값이 0으로 지정되지만 사전은 Key와 Value가 하나의 쌍을 이루어서 저장된다. 사전을 선언할때는 대괄호 {}를 사용하고, Key : Value 로 선언하며, 콤마로 각 값을 분리한다. my_dictionary = { 5: 25, 2: 4, 3: 9 } print(type(my_dictionary)) print(my_dictionary) 위의 값을 보면 5, 2, 3 이 Key이고 25, 4, 9 가 Value이다. 키를 통해서 값을 호출할 수 있다. my_dictionary..

IT&Computer 2023.11.15

파이썬 리스트와 문자열의 유사점과 차이점

파이썬의 리스트와 문자열은 잘 생각해보면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우리가 리스트 함수로 배운 것들 중에 상당수는 문자열에도 똑같이 사용할 수 있다. 파이썬 리스트와 문자열의 유사점과 차이점 1. 리스트와 문자열의 유사점 리스트와 문자열은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리스트는 자료형을 나열한 것이고 문자열은 문자를 나열한 것이다. 이런 유사점때문에 리스트에서 사용하는 함수를 문자열에도 사용할 수 있다. 1.1 for문에서 리스트와 문자열 활용 for 문의 반복시 리스트를 활용했듯이 문자열도 활용이 가능하다. python_list = ['p', 'y', 't', 'h', 'o', 'n', 'a', 'b', 'c'] python_str = "pythonabc" print("list 출력 시작") f..

IT&Computer 2023.11.09

파이썬 반복문 While의 개념과 문법

파이썬에서 사용하는 반복문 중 하나인 while문의 개념과 문법을 알아보자. 파이썬 반복문 While의 개념과 문법1. while 반복문 개념 반복문은 왜 필요할까? 코딩은 우리가 하기 싫은 일을 컴퓨터에 시키기 위해 한다. 사람은 반복적인 일을 싫어하지만 컴퓨터는 반복적인 일을 잘 하기 때문에 사람이 하기 싫은 반복적인 일을 컴퓨터에게 시키는 것이다. 컴퓨터는 지겨워 하지도 않고 불만도 없으니 적합한 대상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는 프로그래밍을 공부하고 있습니다."를 100번 출력하려면 print("나는 프로그래밍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를 100번 입력해야 한다. 만약 100번이 아니라 1000번이라면? 10000번 이라면? 사람이 도저히 반복할 수 없고, 비효율적인 단계에 들어서게 된다...

IT&Computer 2023.10.25

파이썬 변수의 범위 Scope와 상수

변수를 어디에 정의하냐에 따라 변수를 사용할 수 있는 범위가 달라진다. 변수의 scope 즉 적용 범위를 이해해야 어디에서 변수를 정의하고, 어디서 사용할 수 있을지 정확히 알고 실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래밍에서 정의한 상수에 대해서도 알아보자. 파이썬 변수의 범위 Scope와 상수 1. 변수의 scope(범위) 1.1 Local 로컬 변수 아래와 같이 함수 내에서 정의한 변수는 함수 안에서만 작동한다. test 함수 내에서 정의한 x가 test() 함수를 불러왔을 때 잘 사용되었다. 하지만 함수 안에서 정의한 변수는 함수 밖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함수 내에서 정의한 변수를 로컬 변수라 부르고, 함수 내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7번 라인의 print(x)는 함수 바깥이므로 로컬 변수가 적용되지..

IT&Computer 2023.10.24

파이썬 Return과 print의 차이점 알기

함수를 정의할 때 Return과 Print의 차이점을 정확히 모르면 혼란에 빠지기 쉽다. Return과 Print의 차이점을 알아보고 함수 선언을 할 때 혼란이 없도록 하자. 파이썬 Return과 print의 차이점 알기 1. Return문 제대로 알기 1.1 Return의 역할 1 : 함수에서 어떤 값을 돌려준다. plus 함수의 파라미터로 5를 받아서 5 + 5를 돌려준 결고 10이 출력되었다. 1.2 Return의 역할 2 : 함수를 즉시 종료시킨다. Return문 전의 "Retrun 전"은 출력되었지만, Retrun에서 함수가 끝나서 뒤에 있는 "Return 후"는 출력되지 않았다. 이 때 출력되지 못한 부분은 Dead code로 아무런 의미가 없는 코드가 된다. 즉 Return은 함수를 즉시 종..

IT&Computer 2023.10.19

프로그래밍의 핵심 개념 자료형 - 숫자형과 문자형, 그리고 형변환

프로그래밍 강의를 어떤 경로로든 들어봤다면 한 번 쯤은 누구나 들어봤을, 프로그래밍의 자료형이다. 그 중에서도 가장 기본인 숫자형과 문자형을 살펴보고 서로 다른 자료형의 형변환에 대해서 알아보자. 프로그래밍의 핵심 개념 자료형 - 숫자형과 문자형, 그리고 형변환 1. 숫자형자료형의 가장 첫번째인 숫자형은 정수형(int)과 소수형(float)으로 나뉜다. 정수형과 소수형은 말 그대로 소숫점 숫자가 있는 수와 없는 수로 생각하면 간단하다. 1.1 숫자형의 특징 (1)정수형과 정수형의 덧셈, 뺄셈, 곱셈의 결과값은 항상 정수형이 나온다. 정수형과 정수형의 나머지 연산, 거듭 제곱의 결과값은 항상 정수형이 나온다. 즉 정수형과 정수형을 계산하면 항상 정수형이 나오는데, 나눗셈은 이와 다르게 동작한다. 1.2 숫..

IT&Computer 2023.10.0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