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파이썬초보 8

파이썬 자료형 사전 Dictionary 개념과 활용

파이썬의 많은 자료형 중 하나인 사전형에 대해서 알아보자. 파이썬 자료형 사전 Dictionary 개념과 활용 1. 사전의 개념 여러개의 값을 모아놓을 수 있는 자료형으로는 리스트와 사전이 있다. 리스트는 첫번째 요소부터 인덱스 값이 0으로 지정되지만 사전은 Key와 Value가 하나의 쌍을 이루어서 저장된다. 사전을 선언할때는 대괄호 {}를 사용하고, Key : Value 로 선언하며, 콤마로 각 값을 분리한다. my_dictionary = { 5: 25, 2: 4, 3: 9 } print(type(my_dictionary)) print(my_dictionary) 위의 값을 보면 5, 2, 3 이 Key이고 25, 4, 9 가 Value이다. 키를 통해서 값을 호출할 수 있다. my_dictionary..

IT&Computer 2023.11.15

파이썬 반복문 While의 개념과 문법

파이썬에서 사용하는 반복문 중 하나인 while문의 개념과 문법을 알아보자. 파이썬 반복문 While의 개념과 문법1. while 반복문 개념 반복문은 왜 필요할까? 코딩은 우리가 하기 싫은 일을 컴퓨터에 시키기 위해 한다. 사람은 반복적인 일을 싫어하지만 컴퓨터는 반복적인 일을 잘 하기 때문에 사람이 하기 싫은 반복적인 일을 컴퓨터에게 시키는 것이다. 컴퓨터는 지겨워 하지도 않고 불만도 없으니 적합한 대상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는 프로그래밍을 공부하고 있습니다."를 100번 출력하려면 print("나는 프로그래밍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를 100번 입력해야 한다. 만약 100번이 아니라 1000번이라면? 10000번 이라면? 사람이 도저히 반복할 수 없고, 비효율적인 단계에 들어서게 된다...

IT&Computer 2023.10.25

파이썬 변수의 범위 Scope와 상수

변수를 어디에 정의하냐에 따라 변수를 사용할 수 있는 범위가 달라진다. 변수의 scope 즉 적용 범위를 이해해야 어디에서 변수를 정의하고, 어디서 사용할 수 있을지 정확히 알고 실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래밍에서 정의한 상수에 대해서도 알아보자. 파이썬 변수의 범위 Scope와 상수 1. 변수의 scope(범위) 1.1 Local 로컬 변수 아래와 같이 함수 내에서 정의한 변수는 함수 안에서만 작동한다. test 함수 내에서 정의한 x가 test() 함수를 불러왔을 때 잘 사용되었다. 하지만 함수 안에서 정의한 변수는 함수 밖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함수 내에서 정의한 변수를 로컬 변수라 부르고, 함수 내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7번 라인의 print(x)는 함수 바깥이므로 로컬 변수가 적용되지..

IT&Computer 2023.10.24

파이썬 사칙연산을 쉽게하는 Syntactic Sugar

아직 별로 배우지는 않았지만, 프로그래밍을 배우다 보면 변수에 변수 값을 포함한 사칙연산을 해야할 일이 자주 있다. 반복문에서 반복될 때마다 변수에 1씩 더하는 것부터, 강의의 예제를 풀다가도 이래저래 사칙연산을 자주 하게 된다. 이 때 사칙연산을 쉽게 해주는 것이 바로 Syntactic Sugar 이다. 파이썬 사칙연산을 쉽게하는 Syntactic Sugar 자주 쓰이는 표현을 더 간략하게 쓸 수 있게 하는 문법을 'Syntactic Sugar'라고 하는데, 다른게 더 있는지 모르겠지만 지금까지 배운 범위 안에서는 아래와 같이 사칙연산을 쉽게 할 수 있다. 1. 덧셈 Syntactic Sugar x = x + 1 과 x += 1 은 같다. 2. 곱셈 Syntactic Sugar x = x * 2 와 x..

IT&Computer 2023.10.24

파이썬 파라미터의 기본값, 옵셔널 파라미터

함수를 선언할 때 함수의 파라미터에 기본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 기본값을 설정하면 함수를 호출할 때 파라미터를 입력하지 않아도 된다. 이때 이 파라미터를 옵셔널 파라미터 optional parameter라고 한다. 필수가 아니기 때문에 옵셔널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파이썬 파라미터의 기본값, 옵셔널 파라미터 아래와 같이 tistory()라는 함수를 선언하고 호출 한다고 하자. 기본값을 지정하기 위해서는 파라미터 하나에 값을 저장해주면 된다. 옵셔널 파라미터를 저장했더라도 새로운 파라미터를 입력할 수 있다. 아래 tistory 함수의 첫번째 호출에서는 3번째 파라미터를 입력하지 않았고, 두 번째 호출에서는 옵셔널 파라미터로 지정된 "감사합니다." 대신에 "반갑습니다."를 입력했다. 옵셔널 파라미터를 지정할..

IT&Computer 2023.10.23

파이썬 Return과 print의 차이점 알기

함수를 정의할 때 Return과 Print의 차이점을 정확히 모르면 혼란에 빠지기 쉽다. Return과 Print의 차이점을 알아보고 함수 선언을 할 때 혼란이 없도록 하자. 파이썬 Return과 print의 차이점 알기 1. Return문 제대로 알기 1.1 Return의 역할 1 : 함수에서 어떤 값을 돌려준다. plus 함수의 파라미터로 5를 받아서 5 + 5를 돌려준 결고 10이 출력되었다. 1.2 Return의 역할 2 : 함수를 즉시 종료시킨다. Return문 전의 "Retrun 전"은 출력되었지만, Retrun에서 함수가 끝나서 뒤에 있는 "Return 후"는 출력되지 않았다. 이 때 출력되지 못한 부분은 Dead code로 아무런 의미가 없는 코드가 된다. 즉 Return은 함수를 즉시 종..

IT&Computer 2023.10.19

파이썬 변수와 함수 제대로 알기

변수와 함수는 기본 개념인만큼 쉽다고 생각하지만 의외로 프로그래밍 초보, 초심자들이 헷갈리는 부분이 있다. 개념적으로 잘 정리해야 후에 헷갈리지 않기 때문에 다시 한 번 정리해보자. 파이썬 변수와 함수 제대로 알기 1. 변수 제대로 이해하기 name = "이름" number = 99 와 같이 변수는 간단하다. 하지만 아래와 같이 변수를 정의하면 우리가 기존에 알고 있던 수학적 기호의 의미와는 달라진다. x = 55까지는 위와 같다. 하지만 [x = x + 55]는 수학적으로는 55 = 0 이 되어 틀린 수식이 된다. 프로그램에서는 수학적 기호의 의미와 달리 ' = ' 오른쪽의 값을 왼쪽에 저장한다는 뜻이 된다. 즉 위 수식은 x = 55 + 45가 되어 두번째 print에서는 100이 출력된다. 즉, 파..

IT&Computer 2023.10.18

파이썬 type()함수로 데이터 유형 알아보기

앞선 포스트에서 숫자형(정수형, 소수형), 문자형, 불린형 자료형에 대해서 알아봤다. 간단한 코드에서는 자료형이 무엇인지 기억할 수 있지만, 오랫동안 긴 코드를 작성하다보면 사용한 데이터의 유형이 무엇인지 기억하거나 찾기 힘들 수 있다. 이 때 type 함수로 데이터의 자료형을 확인할 수 있다. 파이썬 type()함수로 데이터 유형 알아보기 1. type() 함수 자료형이 뭔지 확실하지 않을 때 type 함수를 활용해서 자료형을 확인할 수 있다. 변수 값을 입력해도 동일한 결과가 나온다. 정의한 함수를 입력하면 함수임을 표시해준다. 간단히 파이썬의 자료형을 확인하는 type함수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 포스트는 코드잇 강의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으며, 개발과 프로그래밍에 대해서 거의 알지 못하는 제가 ..

IT&Computer 2023.10.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