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을 포함한 모든 프로그래밍에서 사용하는 것이 변수와 함수이다.
추상화와 변수와 함수에 대해서 알아보자.

1. 추상화 Abstraction
우리는 스마트폰의 하드웨어가 어떻게 구성되고 작동되는지, 어떤 소프트웨이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잘 모른다. 4G, 5G 네트워크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도 대부분은 잘 모른다. 하지만 우리는 스마트폰으로 인터넷에 연결하여 여러가지 작업을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자동차가 어떻게 움직이는지 대부분은 잘 모르지만 운전은 할 수 있다.
이렇게 복잡한 내용들을 잘 몰라도 주요 기능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을 코딩에서 추상화라고 한다.
2. 변수 Various
코딩에서 변수는 값을 어떤 공간에 담아놓고 공간에 이름표를 붙여주는 것이다.
X = 255
Y = 365
라고 코딩한다면, X라는 공간에는 255, Y라는 공간에는 365라는 값을 담아 놓은 것이다. 변수로 값을 저장해놓음으로써 코드의 수정을 쉽게 해주고, 다른 사람이 코드를 봤을때 변수가 무엇인지 쉽게 알 수 있게 해준다.(이 때 변수는 실제 저장된 값의 이름으로 저장해줘야 다른 사람들도 이해하기 쉽다.) 복잡한 값을 변수에 저장함으로써 추상화하고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3. 함수 Funchion
변수가 값을 저장하는 것이라면 함수는 명령을 미리 지정해 놓은 것이다.
print() 함수는 ()안의 값을 출력하기로 미리 저장해 놓은 것이다. 실제로 파이썬(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기계어로 어떻게 전달되어서 print 함수가 출력까지 이어지는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이용 가능하도록 추상화 한 것이다.
함수는 기본적으로 파이썬에 내장되어 있는 내장 함수가 있고, def (define - 정의)를 통해서 새로룬 함수를 정의할 수 있다. 물론 def를 통해서 기계어로 컴퓨터에 명령하는 함수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내장 함수를 조합해서 원하는 명령 패턴을 만들 수 있다. 이를 통해 반복적인 명령들을 묶어서 코드를 간단히 줄일 수 있다.
파이썬으로 프로그래밍 시작하기 - 추상화, 변수, 함수의 개념
'IT&Compu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보자가 프로그래밍을 배우기 힘든 이유! 프로그래밍도 알고 시작해야 한다! (2) | 2023.07.24 |
---|---|
파이썬으로 프로그래밍 시작하기 - 함수의 파라미터와 리턴 Parameter, return의 개념 (0) | 2023.07.23 |
파이썬으로 프로그래밍 시작하기 - 자료형이란 무엇일까? (2) | 2023.07.12 |
파이썬으로 프로그래밍 시작하기 - #코멘트란 무엇일까? (2) | 2023.07.11 |
개발자가 아니라도 우리가 코딩을 배워야 하는 이유 (2) | 2023.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