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변수와 print 함수를 사용해서 문장을 만들때, 문장 사이에 각 변수를 다 입력해주는 것은 좀 번거로운 일이다. 이때 format을 활용해서 조금 더 쉽게 문장을 만들 수 있다.
1. Format을 활용한 문자열 포매팅
아래와 같이 숫자형 변수를 선언한 후 문장 내에서 각 변수를 다시 문자열로 변환해서 문장을 만들면 코드가 길어지고 작성하기가 번거롭다. 이럴 때 format을 활용한다.
- 띄어쓰기 맞추기도 힘들고 따옴표, 문자열 형변환 등 신경쓸게 많다.
- 원하는 문장을 입력한 후 자리에 맞게 변수만 입력해주면 되서 작성하기가 간편하다.
- 아래와 같이도 작성이 가능하다
2. Format을 활용한 문자열 포매팅 심화
- 출력의 순서를 바꾸고 싶으면 파라미터의 순서를 바꿔도 되고, 대괄호 안에 순서를 지정해도 된다.
- 숫자를 넣을때는 :n.f 를 활용해서 소수점 이하 자리수를 지정할 수 있다.
3. 다른 방법의 format
3.1 포맷 스트링
파이썬에서는 잘 사용하지 않지만 C나 자바에서 유사한 방식을 사용한다.
3.2 F-STRING
최근에 나온 방식으로 점차 본문 상단에 언급한 방법보다 대중화 될 것으로 보인다.
《이 포스트는 코드잇 강의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으며, 개발과 프로그래밍에 대해서 거의 알지 못하는 제가 거의 알지 못하는 초보자를 위해 쓴 글임을 밝힙니다.》
반응형
'IT&Compu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type()함수로 데이터 유형 알아보기 (2) | 2023.10.17 |
---|---|
파이썬 불 대수와 논리연산 (2) | 2023.10.16 |
프로그래밍의 핵심 개념 자료형 - 숫자형과 문자형, 그리고 형변환 (2) | 2023.10.04 |
프로그래밍으로 뭘 할까? 프로그래밍의 분야 (2) | 2023.09.05 |
프로그래밍 입문자가 알기 힘든 두가지, 프로그램 동작 원리와 구현 방법 (0) | 2023.09.04 |